시스템 보안 :: 2주차
1. 대칭암호 (Secret key), 암호화와 복호화에 사용되는 키가 동일한 경우
DES(64bit 8글자 단위), 3DES, AES, 국내 ( SEED ARIA 등등)
2. 비대칭암호 (public key)
대칭암호의 다양한 이름
- 공통키 암호
- 관용암호
- 비밀키 암호
- 공유키 암호
DES의 구조
- 페이스텔 구조 ( 그물 구조 )
트리플 DES-EDE2
2개의 키로 암호화 하는 것.
암호화 복호화 암호화
트리플 DES-EDE3
3번 암호화 하는 것.
암호화 복호화 암호화 (서로다른 키를 사용하기 때문에 중간에 복호화는 진짜 복호화가 아님)
---------------------------------------------------------------------------------------------------------------------------
공개키암호. ( 비대칭암호, 암호화할 때와 복호화할 때의 키가 서로 다름 )
공개 키와 개인 키가 반드시 쌍으로 존재
암호화 키는 공개(public key), 복호화 키는 비밀로 함(private key)
상대방의 키로 암호화, 상대방은 수신하여 자신의 키로 복호화
대칭 암호의 문제점
키를 나와 상대방이 모두 가져야한다.
많은 키를 보관해야한다.
모르는 사람과 신뢰성 있는 통신이 어렵다.
해결방법 ( 공개키암호 )
키 배포 센터에 의한 키 배송
디피와 헬만, 도청자가 봐도 되는 정보를 교환하고 그 정보로 키를 만드는데 이 키는 도청자가 모름, 색깔을 섞는 것은 쉽지만 원색을 뽑아내는 것은 힘듦
ㅋㅋ근데 공개키암호의 문제점도 있음.
대칭 암호에 비해 처리 속도가 몇 백 배 늦음
중간에 감청할 수도 있음.
RSA 암호화 알고리즘
암호화 - 평문 E승 mod N
복호화 - 암호문 D승 mod N
대칭키 | 공개키 | |
장 | 평문 암호화 속도 | 키배송x |
단 | 키 배송 문제 | 암호화 속도 |
하이브리드 암호(대칭키 + 비대칭의 장점만 뽑아 구현)
'시스템보안'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시스템 보안 :: 1주차 (0) | 2017.09.30 |
---|